반도체 공정상 가속 테스트를 통해 만드렁진 칩 중 Side effect로 인해 정상적인 공정을 거친 소자또한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현상. [열화 현상]
HCI ( Hot Carrier Injection ) [Short channel effect 중의 하나 ]
Hot carrier ( 소스에서 드레인 사이의 강한 전계에 의해 가속된 carrier ( 전자, 정공) 이 실리콘 격자와 충돌하여 만들어진 전자나 정공이 Gate에 trap되거나 hot cariier 자체가 게이트에 Trap 되어 Vth가 증가한다.
-> LDD(lighthly Doped Drain) 구조를 사용하여 해결 , 전계를 조금이나마 감소 시킨다.
->
NBTI ( Negative Bias Temparature Instability )
PMOS 채널에 형성된 정공이 게이트에 trap 되어 Vth(문턱전압)이 증가
PBTI ( Positive Bias Temparature Instability )
NMOS 채널에 형성된 전자가 게이트에 trap 되어 Vth(문턱전압)이 증가
TDDB(Time Dependent Dielectric Breakdown)
- 절연막의 신뢰성 평가
-일정한 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
HTOL(High temperature operating life)
Latch Up
Latch-up은 CMOS(fig1)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유의 자기파괴 현상
Radiation Hardness
HAST - 습도를 고려한 가속 시험
THB
ESD
EDS
1) WBI(Wafer Burn In) : 초기 불량을 경감시키기 위한 일종의 가속테스트
2) ET (Electrical Test) : 반도체 소자 신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전기적 성질 테스트
가속 계수(AF)
아레니우스 방정식
MTTF ( Mean time to Failure )
MTBF ( Mean Time Between Failure )
MTTFF ( Mean Time to First Failure )
신뢰성 향상 방법
-클린룸 불순물 통제 ( 클래스 낮게 유지 )
-번인 ( 초기불량 감소 )
-테스트 장비 안정화 ( Gage R&R )
전자 반도체 소자의 고장 메커니즘은 다음 범주에 속한다.
- 물질적 상호작용에 의한 메커니즘.
- 스트레스로 인한 메커니즘.
- 기계적으로 유도된 고장 메커니즘.
- 환경적으로 유도된 고장 메커니즘.
스트레스로 인한 고장 메커니즘
-
전기적 이동 – 칩 내 소재의 전기적 이동
-
번아웃 – 국소화된 오버스트레스
-
핫 일렉트론 트래핑 – 전원 RF 회로의 오버드라이브로 인해 발생
-
전기 스트레스
환경적으로 유도된 고장 메커니즘
- 습도 영향 – 패키지 및 회로에 의한 수분 흡수
- 수소 효과 – 수소 유도 회로 부분 분해(메탈)
- 기타 온도 효과—가속 노화, 온도에 따른 전기 이동 증가, 연소율 증가
+ FA ( Failure Analysis , 고장 분석 )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 제품에 관련된 공정상의 고장모드를 확인하고 그 고장모드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제조 또는 조립 공정상의 원인을 파악, 고장원 인의 개선 및 재발 방지 대책 수립
-> 심각도를 통해 잠재적 고장상태가 고객에게 미치는 손실 정도를 분석 및 평가하고 이를 기준으로 대책을 수립
-> 심각도 , 발생도 , 검출도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 평가
FTA ( Fault Tree Analysis , 고장목 분석 )
: 예상 사고에 대하여 사고의 원인이 되는 설비/기기의 결함이나 작업자/설계자의 오류를 연역적, 순차적, 도식적, 확률적으로 검토 및 분석하여 해당 설비 및 기기 시스템의 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취업 > 반도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공정별 발생할 수 있는 이슈 (0) | 2020.11.11 |
---|---|
EDS (0) | 2020.11.09 |
PN접합 (0) | 2020.11.06 |
[반도체/8대공정]비전공자와 함께 공부해보는 포토공정 (photo lithography) (0) | 2020.09.08 |
[반도체/소자]비전공자와 함께 공부해보는 MOS Capacitor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