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나
데밍의 14가지 원칙
데밍의 14가지 지침 1. 사업을 유지하고 경쟁력을 위한 계획으로서 제품과 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목표의 일관성을 유지하라. 최고 경영진이 결정에 책임이 있다. 2. 새로운 철학을 채택하라. 우리는 신경제 시대에 있다. 지연이나 결함이 있는 제품과 기술의 일반적 허용 범위에서는 살 수 없다. 3. 대량 검사에 대한 의존을 중단하고, 품질에 대한 통계적 근거 대신에 검사의 필요성을 제거하도록 하는 품질을 구축하라. 구매 관리자는 새로운 업무를 하고 그것을 배워야 한다. 4. 가격에 근거하여 발주하는 관행에 종지부를 찍어라. 그 대신 가격과 함께 품질이라는 의미 있는 척도를 적용하라. 품질에 대한 통계적 근거를 입증하지 못하는 공급자는 제외하라. 5. 문제를 발견하라. 시스템(설계, 자재 구입, 자재 구성, ..
품질관리에 관한 생각
품질관리(메모리 사업부) 신규 공정과 신제품의 개발/양산 승인 개발제품 및 Wafer/Package 제품에 대한 품질 보증 및 표준 관리 품질 및 신뢰성 보증기준과 평가기준 정립 개발/양산 품질보증 신뢰성 평가 Methodology 및 통계적 분석 방법 개발 신공정/신제품 신뢰성 평가, 균일한 양산품질 확보를 위한 통계적 품질관리 불량 분석 및 고객 Audit 지원 등 품질 전반에 대한 Support ---품질을 보증한다는 말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고 그것이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활용될수 있는가? ---적혀있는 말들이 실질적으로 의미하는것과 내포하고 있는 내용 생각해보기 품질은 물건에 대한 근간이고 기본이다. 품질은 건물을 세울때 기초로 세우는 철골과 같은것 제품의 생산 그 이전의 원재료에 있어서부터..
품질관리 직무 및 관련 질문
QC/QM/QA 개념 및 차이 품질 경영(QM_Quality Management)이란 경영·품질의 계획과 기준을 세우고 그에 준하는 조직을 만들어 이것을 실행하고, 실행하는 과정에 필요한 통제를 가한다고 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계획과 통제의 두 분야를 아우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품질 경영의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경영진에 의해 돌아가는 회사일수록 프로세스가 탄탄할 확률이 높습니다. 품질 경영이라기보다 오직 매출만을 목표로 삼고 어느 정도의 불량은 감수해야한다는 경영진에 의해 경영되는 회사일수록 업무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일처리가 일상화된 회사일 확률이 높습니다. 대기업일수록 업무가 세분화되어있고 중소기업일수록 품질팀이라는 팀명 하에 품질 관리, 품질 보증 등의 업무를 모두 처리해야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