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민병곽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68)
    • 취업 (56)
      • 자기소개서 (21)
      • 기업정보 (8)
      • 나 (3)
      • 면접 (1)
      • 반도체 공부 (23)
    • 취미 (10)
      • 소액투자 (15)
      • 22_project (1)
    • Python (2)
      • 시각화 (2)
    • 학과공부 (6)
      • 품질 (1)
      • 생산 (1)
      • 자동화 (0)
      • 산업제어 (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반도체공부
  • 삼성전자
  • 나스닥
  • esfj투자 #감성투자자 #정기투자 #배당etf #책임있는포트폴리오 #가족중심투자 #투자궁합 #안정형투자자 #mbti성향재테크 #자산관리스타일
  • Fint
  • 주식입문
  • a7c
  • 로보어드바이저
  • 핀트
  • estp투자 #mbti투자성향 #단타매매 #트레이딩전략 #투자감각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시장판단력 #뉴스기반투자 #실전투자 #etf전략
  • 투자
  • Plotly
  • entj투자 #전략투자자 #장기계획 #성과중심 #리더형포트폴리오 #혁신산업투자 #계획적리밸런싱 #고수익전략 #mbti투자성향 #투자궁합
  • bei지표해석 #인플레이션예측 #금리정책전망 #채권시장 #기대인플레이션
  • esfp투자 #트렌드매매 #감성투자자 #핫테마etf #포트이원화 #투자커뮤니티 #감정매매방지 #mbti재테크 #즐거운투자 #자산루틴
  • 8대공정
  • 미국주식
  • 데이터분석
  • 반도체8대공정
  • 주식투자
  • Python
  • 반도체
  • 종목분석
  • 주식
  • 주린이
  • 주식종목분석
  • PER
  • isfp투자 #감성투자 #자유로운포트폴리오 #테마주투자 #트렌드캐치 #감성리듬투자 #mbti재테크 #자유형투자자 #투자감각 #포트폴리오관리
  • 배당주
  • 소액투자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투자/단어] 이것은 진짜 가성비인가 - 
주가 속 숨겨진 자산을 꿰뚫는 안경
PBR의 모든 것
카테고리 없음

[투자/단어] 이것은 진짜 가성비인가 - 주가 속 숨겨진 자산을 꿰뚫는 안경 PBR의 모든 것

2025. 4. 1. 08:43
728x90
반응형




---

좋아 오늘은 PER랑 꼭 세트로 따라다니는
그리고 어떤 사람들한테는 더 중요한
또 다른 마법의 지표 하나를 풀어볼게

바로
PBR

처음엔 이름부터 뭔가 좀 딱딱하지
하지만 이 안에는
기업의 진짜 속살
겉으론 잘 안 보이는 ‘순자산’이라는 보물이 숨어 있어
오늘 우리 그걸 같이 들여다보자
사근사근하게 가볼게


---

1장 PBR란 무엇인가요

PBR는 Price to Book Ratio의 줄임말이야
한국말로는 ‘주가순자산비율’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지
하지만 그게 뭔데 하고 물으면
이렇게 대답할 수 있어

PBR는 회사의 주가가 그 회사가 가진 순자산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혹은 싼지를 나타내는 지표야

식으로 쓰면 이래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 BPS

여기서 BPS는 Book Value Per Share
즉 회사의 순자산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이지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주가가 5만원인데
그 회사가 주당 10만원어치 순자산을 가지고 있다면

PBR는 0.5

이건 뭘 의미하냐면
지금 이 회사를 5만원에 살 수 있는데
그 안에 10만원어치 자산이 들어 있다는 거야
헉 헐 이거 싸다

그렇지 그렇지
이런 경우 투자자들은 귀가 솔깃해지지


---

2장 PBR가 낮으면 진짜 싸다는 뜻일까

그치만 여기서 우리가 한 번 더 생각해봐야 해
PBR가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걸까

그게 또 그렇지만은 않아

낮은 PBR는 자산 대비 주가가 싸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그 자산이 앞으로 이익을 잘 못 낼 수도 있고
심지어 그 자산 자체가 위험하거나 부실할 수도 있거든

예를 들어

부동산 자산이 많지만
그걸 잘 활용 못하고 있는 회사라면
아무리 PBR가 낮아도 시장은 그 회사를 저평가한 채로 둘 수도 있어

혹은
은행에서 대출을 너무 많이 받아 자산이 부채로 덮여 있는 경우도 있지

그러니까 낮은 PBR를 봤을 땐
반드시 그 자산이 진짜로 의미 있는 자산인지
회사가 그걸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함께 봐야 해


---

3장 PBR가 높은 회사는 뭔가 특별하다

반대로 PBR가 높은 회사는 어떤 경우일까

주가가 자산에 비해 아주 비싸게 거래되고 있는 거지

이건 무슨 뜻이냐면
자산보다 브랜드 가치
기술력
경영진의 역량
혹은 성장성에 투자자들이 더 많은 가치를 부여
하고 있다는 거야

예를 들어 애플 같은 회사
기술력이나 브랜드 파워가 자산보다 훨씬 더 중요하지

그래서 자산 자체는 작아도
미래 수익 창출 능력이 크기 때문에
PBR가 10을 넘는 경우도 있어

---

4장 업종별로 보는 PBR

PBR도 PER와 마찬가지로
업종마다 기준이 완전히 달라져

예를 들어 은행이나 보험 같은 업종은
자산이 많고 그걸 운용하는 업종이기 때문에
PBR가 낮아도 이해가 돼
보통 0.3에서 1 사이면 적정하다고 봐

하지만 콘텐츠나 IT기업처럼 무형자산 중심의 기업은
PBR가 3 이상도 자연스러워
왜냐하면 그 회사의 진짜 가치는 자산이 아니라
아이디어와 기술력이니까

그래서 PBR를 볼 땐
반드시 업종 내 다른 회사들과 비교해야 해


---

5장 PER vs PBR
무엇이 다른가요

자 자 이제 이 둘의 차이를 정리해보자




PER는 수익성 중심이야
그래서 돈을 얼마나 잘 벌고 있는지가 핵심

반면 PBR는 자산 중심
회사에 무엇이 남아 있느냐
보유 자산이 얼마나 탄탄하냐가 핵심이지

그래서 가치투자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PER보다는 PBR를 더 중요하게 본다는 말도 있어

특히 벤저민 그레이엄이나 워런 버핏 같은 전설적인 가치투자자들도
낮은 PBR를 주목하는 경우가 많았지



---

6장 PBR 실전 활용 팁

그럼 이제 실제로 PBR를 어떻게 투자에 써먹을 수 있을까

1 업종 평균 PBR를 체크해라
같은 업종끼리 비교가 핵심

2 PBR가 낮다고 무조건 사지 말고
자산의 질과 활용도를 함께 보자

3 과거 PBR 흐름을 함께 보자
현재가 평균보다 너무 낮다면 저평가일 가능성이 있어

4 PBR 1 이하 기업 중
부채가 적고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회사를 눈여겨보자

5 PER와 함께 보면 더욱 좋다
PER는 지금의 수익
PBR는 남아 있는 자산

두 개를 동시에 보면 기업의 총체적인 상태를 알 수 있어


---

7장 마무리하며

PBR는
겉으로 보이지 않던 기업의 자산 가치를
우리 눈앞에 똑 떨어지게 보여주는 투명한 렌즈 같은 존재야

겉만 번지르르한 회사인지
속이 꽉 찬 알짜인지
우리는 PBR로 그걸 구분할 수 있지

하지만 숫자 하나로 판단하지 마
숫자 뒤에는 항상 이야기가 있어
그 이야기를 들을 준비가 됐다면
우리는 이미 한 걸음 더 현명한 투자자가 된 거야


---

반응형
    민병곽
    민병곽
    하고 싶은 것 , 해야 하는 것, 했어야 했던 것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