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장 바텀피싱이란?
바텀피싱(Bottom Fishing)은 말 그대로 **‘바닥에서 낚시질한다’**는 뜻이에요. 투자 세계에서는 주가가 크게 떨어진 종목을 저가에 매수하려는 전략이죠.
단순히 싸 보인다고 사는 게 아니라, 진짜 저평가 구간에서 반등 가능성이 있는 종목을 고르는 기술이 핵심이에요. 마치 깊은 바다 아래, 눈에 잘 띄지 않는 '진주' 같은 종목을 찾아내는 전략이기도 해요.
#바텀피싱 #저가매수전략 #하락장투자
---
2장 바텀피싱이 주목받는 이유
요즘처럼 금리 인상, 글로벌 침체 우려, 지정학적 리스크로 시장이 불안정할 땐 많은 종목들이 ‘과하게’ 빠지기 마련이에요. 이때 등장하는 게 바로 바텀피싱 전략!

하지만 이 전략은 판단 기준이 명확해야 하며, 무작정 ‘떨어졌으니 산다’는 접근은 위험해요.
#하락장기회 #폭락장전략 #저평가주
---
3장 바텀피싱 전략의 핵심 포인트
✅ 1. 가격만 보지 말고 ‘가치’를 보라
실적은 개선되는데 주가가 반영되지 않은 기업
구조조정, 일시적 이슈 등으로 부당하게 저평가된 종목
✅ 2. 기술적 지지선 + 심리적 저점 확인
과거 저점 부근에서 지지 받는 차트 패턴
RSI, MACD 등의 기술지표 활용
✅ 3. 업종 흐름과 동반 확인
개별 종목만이 아닌 업종 전체의 회복 조짐 동반 여부
해당 산업의 ‘리오프닝’, ‘정책 수혜’, ‘환율 효과’ 등 체크
✅ 4. 분할 매수 필수
절대 한 번에 몰빵 X
예: 주가가 -30% 수준일 때 1차 매수, -40% 시 2차 등 분할 전략
#기술적분석 #가치투자 #분할매수
---
4장 바텀피싱 실전 예시
사례 1. 반도체 업종의 바닥 매수 (2022)
2022년, 메모리 반도체 재고 폭증으로 관련 종목 대폭 하락
그러나 하반기부터 감산 + 수요 회복 조짐
2023년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60~80% 반등
사례 2. 리츠(REITs) 저점매수
금리 인상기로 인해 고배당 리츠들도 대거 하락
일부 고배당 종목은 배당률 8~9% 도달
금리 피크아웃 시점 이후 큰 반등 기록
사례 3. 중국 소비주 바닥 기회
제로코로나, 부동산 위기로 인해 중국 소비주 폭락
리오프닝 발표 이후 티몰·알리바바·중국ETF 등 반등 흐름
#반도체저점 #리츠매수 #중국소비주
---
5장 바텀피싱과 데드캣바운스의 차이
가장 흔한 오해 중 하나는 바텀피싱과 데드캣 바운스(Dead Cat Bounce)의 혼동이에요

따라서 바텀피싱 시에는 반드시 기업 펀더멘털, 업황 흐름, 수급 확인이 필요해요
#데드캣바운스 #바텀피싱주의점 #반등판단
---
6장 바텀피싱 전략의 주의사항
고점 대비 많이 빠졌다고 무조건 바닥 아님
시장 전체가 하락 중일 땐 성급한 진입 금물
유동성이 없는 종목은 반등도 더딤
바닥은 '맞추는 것'이 아니라 '구간을 설정하는 것'
실전 팁:
실적 시즌 직후 '어닝서프라이즈' 종목 중 주가 빠진 종목 살펴보기
기관 수급 유입 여부도 체크 (급락 후 매집 흐름 포착)
거시 흐름과 섹터별 반등 순서 예측도 중요
#투자주의 #시장흐름파악 #어닝서프라이즈
---
7장 바텀피싱을 위한 ETF 전략
ETF로도 바텀피싱 전략을 활용할 수 있어요!
시장 전체가 폭락했을 때, 섹터 ETF로 분산 바텀피싱 가능
개별종목 리스크보다 완화된 전략

#ETF투자전략 #리츠ETF #바텀피싱ETF
---
8장 마무리: 깊은 곳에서 찾은 기회는 더 오래 간다
바텀피싱은 고수익을 위한 단기 기술이 아니라, 깊이 있는 시선과 용기 있는 판단이 요구되는 전략입니다. 시장이 공포로 무너질 때, 진짜 투자자는 ‘관망’이 아니라 ‘선별된 매수’를 준비합니다.
바닥은 늘 사람들의 공포 속에 있고, 반등은 늘 조용히 시작돼요. 그리고 준비된 사람만이 그 반등의 수혜자가 될 수 있어요.
오늘도 시장에선 누군가는 도망가고, 누군가는 낚시줄을 내리고 있습니다.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건가요?
#주식낚시 #폭락장기회 #현명한투자자
---
9장 단어 정리
바텀피싱: 주가가 많이 하락한 종목을 저가에 매수하는 전략
데드캣 바운스: 일시적 기술적 반등 후 다시 하락하는 패턴
RSI/MACD: 기술적 분석 지표로 주가 과매수/과매도 판단
펀더멘털: 기업의 기본적인 재무 상태와 성장성
리오프닝: 경제 재개 또는 정상화 흐름
피크아웃: 금리나 물가 등 지표가 정점에 도달한 상태
어닝서프라이즈: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 발표
분할매수: 투자 금액을 나눠 여러 시점에 나누어 매수하는 전략
섹터 ETF: 특정 산업군 종목들로 구성된 ETF
저평가주: 가치 대비 주가가 낮은 종목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별 투자비법] INTP: 숫자와 논리로 무장한 조용한 사냥꾼 (0) | 2025.04.19 |
---|---|
FOMO 투자, 당신의 손이 먼저 움직이기 전에 읽어야 할 이야기 - 공포보다 무서운 건, 나만 빠질까 봐의 불안이다 (1) | 2025.04.15 |
[투자/비법]물타기 vs 분할매수, 헷갈리지 마세요! (1) | 2025.04.06 |
미국이 관세 폭탄을 던진다?!- 다시 불붙는 무역전쟁과 주식시장, 세계 경제는 어디로 향할까? (0) | 2025.04.03 |
"코스피냐 나스닥이냐 내 돈은 어디에 살아야 할까?" - 미국주식 vs 한국주식 완전 비교 (1)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