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민병곽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61) N
    • 취업 (56)
      • 자기소개서 (21)
      • 기업정보 (8)
      • 나 (3)
      • 면접 (1)
      • 반도체 공부 (23)
    • 취미 (10)
      • 소액투자 (15)
      • 22_project (1)
    • Python (2)
      • 시각화 (2)
    • 학과공부 (6)
      • 품질 (1)
      • 생산 (1)
      • 자동화 (0)
      • 산업제어 (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esfj투자 #감성투자자 #정기투자 #배당etf #책임있는포트폴리오 #가족중심투자 #투자궁합 #안정형투자자 #mbti성향재테크 #자산관리스타일
  • 소액투자
  • a7c
  • estp투자 #mbti투자성향 #단타매매 #트레이딩전략 #투자감각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시장판단력 #뉴스기반투자 #실전투자 #etf전략
  • 투자
  • 배당주
  • 삼성전자
  • 반도체8대공정
  • Python
  • 미국주식
  • Plotly
  • 나스닥
  • PER
  • 종목분석
  • entj투자 #전략투자자 #장기계획 #성과중심 #리더형포트폴리오 #혁신산업투자 #계획적리밸런싱 #고수익전략 #mbti투자성향 #투자궁합
  • 주린이
  • bei지표해석 #인플레이션예측 #금리정책전망 #채권시장 #기대인플레이션
  • Fint
  • 반도체
  • 반도체공부
  • 주식
  • 핀트
  • 주식입문
  • isfp투자 #감성투자 #자유로운포트폴리오 #테마주투자 #트렌드캐치 #감성리듬투자 #mbti재테크 #자유형투자자 #투자감각 #포트폴리오관리
  • 8대공정
  • esfp투자 #트렌드매매 #감성투자자 #핫테마etf #포트이원화 #투자커뮤니티 #감정매매방지 #mbti재테크 #즐거운투자 #자산루틴
  • 주식투자
  • 데이터분석
  • 주식종목분석
  • 로보어드바이저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불량률(Yield Rate)과 공정능력(Cpk)의 상관관계: 수치로 품질을 말하다
카테고리 없음

불량률(Yield Rate)과 공정능력(Cpk)의 상관관계: 수치로 품질을 말하다

2025. 4. 19. 21:38
728x90
반응형

 

1. 품질의 두 얼굴, Yield와 Cpk

현장의 엔지니어가 공정을 평가할 때 가장 자주 듣는 질문이 있다.

  • “이 공정의 수율은 몇 %입니까?”
  • “Cpk 수치는 얼마입니까?”

둘 다 공정의 품질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그 의미와 계산 방식은 다르다. 이 글에서는 **불량률(Yield Rate)**과 **공정능력지수(Cpk)**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으며, 왜 두 지표를 동시에 보아야 진정한 공정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2. 불량률(Yield Rate)이란?

2.1 정의

불량률(Defect Rate) 또는 **수율(Yield Rate)**은 전체 생산된 제품 중에서 규격(specification limits)을 만족하는 제품의 비율을 말한다. 즉, 공정에서 얼마나 "합격품"이 많이 나왔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공식:

Yield Rate = (양품 수량 / 총 생산 수량) × 100% Defect Rate = 1 - Yield Rate

2.2 예시

  • 10,000개의 제품 중 200개가 규격을 벗어난다면
    • 불량률 = 200 / 10,000 = 2%
    • 수율 = 98%

3. 공정능력지수 Cpk란?

3.1 정의

**Cpk(Process Capability Index)**는 공정이 규격 범위 내에서 어느 정도 중심을 잘 맞추고 있으며, 그 안에 안정적으로 들어오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공식:

 

Cpk = min[(USL - μ) / (3σ), (μ - LSL) / (3σ)]
  • USL: 상한 규격
  • LSL: 하한 규격
  • μ: 공정 평균
  • σ: 공정의 표준편차

3.2 해석

  • Cpk = 1.33 이상: 양호한 공정
  • Cpk = 1.67 이상: 우수한 공정
  • Cpk = 2.00 이상: 매우 안정적이며 6시그마 수준에 근접

4. Cpk와 불량률 간의 수학적 관계

Cpk 수치가 높을수록 불량률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한다. 이는 정규분포의 특성을 이용해 다음과 같은 표로 정리할 수 있다.

Cpk 수치이론적 불량률 (DPMO, 백만개당 불량 수)수율 (%)
0.67 약 500,000 50.0%
1.00 약 27000 97.3%
1.33 약 63 99.9937%
1.50 약 3.4 99.9997%
2.00 거의 0 ~100.0%

※ 단, 위 수치는 공정이 정규분포를 따르고, 중심이 잘 맞춰져 있을 때를 가정

시각 자료 추천

이미지 제목: “Cpk별 불량률 변화 곡선”
곡선형 그래프 삽입 위치: 이 표 아래


5. 왜 Cpk 수치가 중요한가?

5.1 불량률을 예측할 수 있다

공정을 측정하고 Cpk 수치를 계산하면, 실제로 제품을 측정하지 않아도 불량률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검사 비용 절감과 빠른 품질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5.2 Cpk 수치가 낮으면?

  • 공정 평균이 치우쳐 있다
  • 산포(σ)가 너무 크다
  • 규격에 근접한 위치에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 이럴 경우 불량률이 높아지고, 고객 클레임 또는 리콜로 이어질 수 있다.


6. 실무 적용 예시

예시 1: 반도체 공정

  • 웨이퍼 위에 식각되는 라인의 두께가 50nm ± 5nm
  • Cpk가 1.67일 경우 → 불량률은 거의 0에 가까움
  • Cpk가 0.90일 경우 → 불량률이 6% 이상 발생 가능 → 수율 하락 및 수익성 저하

예시 2: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 규격: 두께 8mm ± 0.2mm
  • 공정 평균 8.05mm, σ = 0.1mm → Cpk ≒ 0.83
  • 고객 불만 다수 발생 → 평균 조정 또는 σ 개선 필요

7. Cpk 높이는 방법 = 불량 줄이는 방법

개선                                               방법설명

 

평균 이동 조정 μ가 중심에 가깝도록 공정 설정 변경
산포 감소 σ를 줄이기 위해 기계 정비, 작업자 교육, 온습도 관리 등
데이터 기반 분석 히스토그램, 관리도, 원인-결과 도표 활용
설비 교체 정밀도 낮은 장비는 공정변동 증가의 원인

8. 결론: 수율만 보지 말고, Cpk까지 보라

불량률은 "결과"이고, Cpk는 그 결과를 만드는 "과정의 질"이다.
공정이 안정적이고 Cpk가 높다면, 비로소 수율(Yield)은 예측 가능하고, 고객의 신뢰도 확보된다.
따라서 실무에서는 두 지표를 함께 해석하고, 수율이 떨어졌을 때는 **Cpk 수치와 그 구성 요소(μ, σ)**를 살펴보아야 진정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용어 정리

  • Yield Rate: 전체 생산품 중 양품의 비율
  • Defect Rate: 전체 생산품 중 불량품의 비율
  • Cpk: 공정 평균이 규격 안에 얼마나 안정적으로 들어오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 σ (시그마): 표준편차, 데이터의 흩어짐 정도
  • DPMO (Defects Per Million Opportunities): 백만 개당 불량 수
  • 공정능력지수: 공정과 규격 사이의 적합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
  • 정규분포: 통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 모양의 확률분포
  • 중심화(Centering): 공정 평균이 규격의 중앙에 오도록 맞추는 작업
반응형
    민병곽
    민병곽
    하고 싶은 것 , 해야 하는 것, 했어야 했던 것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