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민병곽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68)
    • 취업 (56)
      • 자기소개서 (21)
      • 기업정보 (8)
      • 나 (3)
      • 면접 (1)
      • 반도체 공부 (23)
    • 취미 (10)
      • 소액투자 (15)
      • 22_project (1)
    • Python (2)
      • 시각화 (2)
    • 학과공부 (6)
      • 품질 (1)
      • 생산 (1)
      • 자동화 (0)
      • 산업제어 (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반도체
  • estp투자 #mbti투자성향 #단타매매 #트레이딩전략 #투자감각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시장판단력 #뉴스기반투자 #실전투자 #etf전략
  • entj투자 #전략투자자 #장기계획 #성과중심 #리더형포트폴리오 #혁신산업투자 #계획적리밸런싱 #고수익전략 #mbti투자성향 #투자궁합
  • esfp투자 #트렌드매매 #감성투자자 #핫테마etf #포트이원화 #투자커뮤니티 #감정매매방지 #mbti재테크 #즐거운투자 #자산루틴
  • 주식종목분석
  • Python
  • 8대공정
  • Plotly
  • 미국주식
  • 나스닥
  • 로보어드바이저
  • Fint
  • isfp투자 #감성투자 #자유로운포트폴리오 #테마주투자 #트렌드캐치 #감성리듬투자 #mbti재테크 #자유형투자자 #투자감각 #포트폴리오관리
  • 종목분석
  • 주식입문
  • PER
  • 핀트
  • 주린이
  • 삼성전자
  • 주식투자
  • 반도체8대공정
  • 반도체공부
  • 배당주
  • 주식
  • a7c
  • esfj투자 #감성투자자 #정기투자 #배당etf #책임있는포트폴리오 #가족중심투자 #투자궁합 #안정형투자자 #mbti성향재테크 #자산관리스타일
  • 소액투자
  • bei지표해석 #인플레이션예측 #금리정책전망 #채권시장 #기대인플레이션
  • 데이터분석
  • 투자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캐즘(Chasm)이란? 혁신이 대중화되기까지 넘기 힘든 그 벽
모든 기술은 초기의 찬사 후, 깊은 침묵을 마주한다
카테고리 없음

캐즘(Chasm)이란? 혁신이 대중화되기까지 넘기 힘든 그 벽 모든 기술은 초기의 찬사 후, 깊은 침묵을 마주한다

2025. 5. 19. 08:28
728x90
반응형


1장 캐즘이란?

**캐즘(Chasm)**은 신기술이나 제품이 **초기 수용자(early adopters)**에서 **대중 시장(early majority)**으로 넘어갈 때 생기는 수요의 단절 구간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제프리 무어(Geoffrey Moore)**의 책 『Crossing the Chasm』에서 유명해졌어요.

즉, 기술의 수명주기에서 **‘넘기 어려운 간극’**이 있다는 거예요.

✔️ 기술수용 생애주기 곡선

혁신자(Innovators): 신기술을 가장 먼저 시도함

초기 수용자(Early Adopters): 트렌드에 민감하고 리스크를 감수함

조기 다수층(Early Majority): 기술이 검증되면 도입

후기 다수층(Late Majority): 대중이 많이 써야 도입

지각 수용자(Laggards): 변화에 매우 소극적

이 중에서 초기 수용자와 조기 다수층 사이에 생기는 큰 간극이 ‘캐즘’이에요.

#기술수용주기 #캐즘이론


---

2장 왜 캐즘이 중요한가?

1️⃣ 스타트업의 생존을 가르는 시기

초기엔 열정적 지지층이 있지만

이들이 돈을 벌어다 주는 소비층은 아니기 때문!


2️⃣ 성공하는 기업 vs 망하는 기업 차이점

캐즘을 건너면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짐

못 건너면 초기 팬들만 남고 망할 가능성 큼


3️⃣ 제품의 진화가 필요한 구간

이때부터는 ‘기능’보다 ‘신뢰성’과 ‘대중성’이 더 중요해짐


#스타트업성공 #기술확산곡선 #시장확대


---

3장 캐즘을 넘기 위한 전략




특히 이 단계에서는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가가 핵심!


---

4장 실제 예시

성공사례

애플 아이폰: 초기엔 마니아층 중심 → 대중을 위한 UX로 확장

넷플릭스: DVD 우편 대여에서 스트리밍 전환으로 캐즘 극복


실패사례

구글 글래스: 기술은 혁신적이었지만 대중성 확보 실패

세그웨이: 주목받았지만 가격과 실용성에서 캐즘 못 넘김



---

5장 투자자 입장에서 보는 캐즘

신기술 기업에 투자할 땐 이 기업이 지금 어디쯤인지 파악해야 해요.

캐즘 이전이라면: 리스크 크지만 잠재 수익도 큼

캐즘 이후라면: 안정성과 시장 확대 기대 가능


그래서 테마주나 기술 ETF 투자는 항상 캐즘 구간을 의식하고 판단해야 해요


---

6장 캐즘과 기술 확산 시점의 타이밍




---

7장 결론: 모든 혁신은 침묵의 벽을 넘는다

캐즘은 단순한 마케팅 용어가 아니라 생존을 좌우하는 지점입니다.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시장 타이밍을 놓치면 실패하고
초기 실패에도 전략적 다리 건너기에 성공하면 시장을 주도하게 되죠.

성공한 기술은, 반드시 ‘캐즘’을 넘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캐즘 #기술확산이론 #스타트업전략 #시장진입전략 #혁신과대중화


반응형
    민병곽
    민병곽
    하고 싶은 것 , 해야 하는 것, 했어야 했던 것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