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민병곽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63) N
    • 취업 (56)
      • 자기소개서 (21)
      • 기업정보 (8)
      • 나 (3)
      • 면접 (1)
      • 반도체 공부 (23)
    • 취미 (10)
      • 소액투자 (15)
      • 22_project (1)
    • Python (2)
      • 시각화 (2)
    • 학과공부 (6)
      • 품질 (1)
      • 생산 (1)
      • 자동화 (0)
      • 산업제어 (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나스닥
  • 8대공정
  • Fint
  • 반도체공부
  • 투자
  • Plotly
  • 미국주식
  • 주식
  • isfp투자 #감성투자 #자유로운포트폴리오 #테마주투자 #트렌드캐치 #감성리듬투자 #mbti재테크 #자유형투자자 #투자감각 #포트폴리오관리
  • PER
  • 주식입문
  • 반도체8대공정
  • 삼성전자
  • entj투자 #전략투자자 #장기계획 #성과중심 #리더형포트폴리오 #혁신산업투자 #계획적리밸런싱 #고수익전략 #mbti투자성향 #투자궁합
  • 주식투자
  • 반도체
  • a7c
  • 종목분석
  • bei지표해석 #인플레이션예측 #금리정책전망 #채권시장 #기대인플레이션
  • Python
  • estp투자 #mbti투자성향 #단타매매 #트레이딩전략 #투자감각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시장판단력 #뉴스기반투자 #실전투자 #etf전략
  • 주식종목분석
  • 핀트
  • 주린이
  • 소액투자
  • 배당주
  • 로보어드바이저
  • esfj투자 #감성투자자 #정기투자 #배당etf #책임있는포트폴리오 #가족중심투자 #투자궁합 #안정형투자자 #mbti성향재테크 #자산관리스타일
  • esfp투자 #트렌드매매 #감성투자자 #핫테마etf #포트이원화 #투자커뮤니티 #감정매매방지 #mbti재테크 #즐거운투자 #자산루틴
  • 데이터분석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주린이/단어장] PER? 나도 종목 분석 하고 살래 제발  [Price Earning Ratio]
취미/소액투자

[주린이/단어장] PER? 나도 종목 분석 하고 살래 제발 [Price Earning Ratio]

2022. 9. 20. 20:45
728x90
반응형

 

주식을 처음 시작하여 원하는 종목을 매수하며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나가다 보면

처음보는 여러 생소한 단어들에 정신이 혼미해지는 순간들이 옵니다.

 

앞으로는 저도 그렇고 많은 주식 초보자들이 함께 생소하실 수 있는 단어들을

공부해보고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보도록 하려 합니다.

 

그 세번째 단어는 PER 입니다.

 


 

PER ( Price Earning Ratio ) ?

시작 전에..


 

 

주식을 시작하고 익숙한 종목 또는 추천받은 종목들을 토대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다보면,

종목 분석을 통해서 좋은 주식을 고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이를 위해 증권 / 네이버 금융등과 같은 사이트에 접속해 종목분석 탭에 들어가게 되는데,

처음 보는 영어로 된 단어들에 정신이 혼미해지곤 합니다. (저는 그랬습니다)

 

 

 

 

 

 

오늘은 그 중 네이버 금융 탭 종목분석 창 최상단에 있는 PER에 대해서 설명해보려 합니다.

 

what?

PER 단어나 풀어서 설명한번 해주세요


 

 

 

 

PER ( price earning ratio )는

  • 주가/ 주당 순이익 ( eps : earning per share ) 
  • 시가총액 /당기순이익

영어 그대로 해석해보면 Price = 현재의 주가 & Earning = 회사가 과거에 벌어들인 이익의 비율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100만원인 병맛전자가 지난 1년간 10만원의 수익을 냈다면 PER은 100만원 / 10만원 = 10이 됩니다.

 

즉, 주식 한주 한주가 벌어들이는 이익이 주식 가격에 대비해서 높은지 낮은지를 통해 PER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PER이 낮거나 높다는 것은 어떻게 생각할 수 있을까요?

 

PER가 낮을 때

  • 1. 주가가 주당 순이익에 비해 낮거나
  • 2. 주당 순이익이 주가에 비해 높을 때
  • (다른 듯 같은 말입니다.)

즉, 기업의 한주가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서 주가가 낮을 때 PER가 낮습니다.

PER가 낮다는 것은 결국 주가가 주당 이익대비 낮기때문에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고 있는 주식이다.

라고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죠.


 

즉,

 

PER이 높다 =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 -> 주식 고평가 ( 주가 하락 가능성 有 )

PER이 낮다 = 주가가 저평가 ( 주가 상승 가능성 有 )

 

 

 

찾았다 만능버튼 PER ! 이제 나도 부자?


 

그렇다면, PER가 높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고평가 되어 있기 때문에 나쁜 주식이냐?

라고 한다면 고것은 주식에 따라 다르다~

 

 

 

 

 

왜냐하면 대표적으로 테슬라처럼 많은 투자를 통해 미래 성장을 기대하는 기술주들의 경우

현재 벌어들이는 이익은 크지 않더라도,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기 때문에 PER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화성 갈끄니까~~~~~~~

 

 

 

그렇기 때문에 PER이 낮으니까 무조건 사면 오를거야라고 하기 보다는 주식을 분석할 때

 

'아 PER이 낮으니까 상대적으로 저평가일 수도 있겠다~ '

 

정도로 큰그림을 보는 수 많은 기준 중 하나의 용도로 사용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아니 근데 기준이 없잖아 기준이!!!

언제 높고 낮은거냐고


 

이제 PER이 대~~충 뭘 말하고 낮을때 좋다는건 알겠는데 몇을 기준으로 봐야하는 걸까요??

 

명확하게 주어진 기준은 없는 상대적인 수치이기 떄문에

누구에게는 10도 높을 수 있고, 또 다른 누구에게는 1000도 낮은 숫자로 볼 수 있을텐데요..

 

 

 

 

 

여러 사이트나 영상들을 참고해보면,

암묵적으로 PER = 10을 기준으로 높고 낮음을 결정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위에도 말씀드렸듯이 각 종목/섹터들이 갖고있는 특성에 따라 PER의 높낮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절대적인 참고 지표로 사용하기는 힘든 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DCF나 잔여이익 모델, 배당할인 모형등 여러 모델이나 모형이 있다고 하지만..공부하기도 싫고 머리 아픕니다.

 


 

그래서 저는..

 

  • 우선 PER 10~ 15 기준으로 본다. -> 판단이 어렵다..
  • 해당 주식이 갖고 있는 섹터의 대표 주식들을 몇개 뽑는다. ( 시총기준 상위/중위/하위 일부 )\
  • 평균 PER 산출하고 그것과 비교한다. ( 근데 또 보다 보면 과도하게 높고 낮고 이런애들 있기 때문에 적당히~ )

 

이런식으로 생각하는걸 추천드립니다.

결국에는 시장 상황 / 섹터별 특징 등 여러 요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많이 보면서 본인만의 판단 기준을 세우는게 중요하다~~

아래 문구 많이 보셨쥬?

 

증권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으로 해야하며,
발생한 손실에 대해서는 보상이나 책임지지 않습니다.

 

 


전달드린 정보가 이해되고 유익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글을 읽어주시는 여러분들은 기준을 갖고 더 공부해서 좋은 종목 고르고! 수익률을 극대화 하실 수 있도록 응원하겠습니다~! 파이링~~~ 화성 갈끄니까~!

 

 

 

 

 

 

 


끝까지 읽어주시는 분들을 위해..

 

금리 인상/인하와 PER 상관관계를 설명하려고 만들다가 아까워서 붙여 놓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해두면,

우리가 갖고있는 현금에도 PER을 적용할 수 있는데

 

내 재산 : 100만원

 

  • 금리 1% 시기일때 1년 순이익 만원 -> PER = 100만원 / 만원 = 100
  • 금리 10% 시기일 때 1년 순이익 10만원 -> PER = 100만원 / 10만원 = 10

 

즉 금리가 높아질 때는 현금의 PER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현금의 가치가 높아진다 ( 현금 PER보다 높은 PER 가진 주식은 일부 정리 )

반대로, 금리 낮을때는 현금의 PER 치솟음 ( 현금보다 PER이 낮은 주식에 투자하는게 합리적 )

 

지금처럼 금리를 올리고 있는 시기에는 현금 보유비중을 늘리는 것도 방법이겠죠? ( 현금도 포트폴리오! )

 

현금 수거 = 현금 희소성 증가 -> 가치 상승

 

 

반응형

'취미 > 소액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단어장] PBR? 나도 종목 분석 하고 살래 제발 [Price to Book Ratio]  (0) 2023.05.09
[주린이/단어장] EV/EBITDA (이브이에비타),이름은 멋진데 그게 뭔가요? (주식 저평가 판단 지표)  (1) 2022.10.03
[주린이 단어장] 주식 리스크 헷지? 헷징? 나도 안전하게 투자할래.. [ Hedge / risk ]  (0) 2022.08.30
[주린이 단어장] 주식 리밸런싱? 6개월? 1년? 그게뭔데 ~~~ [Rebalancing]  (1) 2022.08.28
[fint/핀트] 모의투자 2년차 후기 500만원 - 장투가 답은 답인가  (0) 2022.08.16
    '취미/소액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린이/단어장] PBR? 나도 종목 분석 하고 살래 제발 [Price to Book Ratio]
    • [주린이/단어장] EV/EBITDA (이브이에비타),이름은 멋진데 그게 뭔가요? (주식 저평가 판단 지표)
    • [주린이 단어장] 주식 리스크 헷지? 헷징? 나도 안전하게 투자할래.. [ Hedge / risk ]
    • [주린이 단어장] 주식 리밸런싱? 6개월? 1년? 그게뭔데 ~~~ [Rebalancing]
    민병곽
    민병곽
    하고 싶은 것 , 해야 하는 것, 했어야 했던 것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