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민병곽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63) N
    • 취업 (56)
      • 자기소개서 (21)
      • 기업정보 (8)
      • 나 (3)
      • 면접 (1)
      • 반도체 공부 (23)
    • 취미 (10)
      • 소액투자 (15)
      • 22_project (1)
    • Python (2)
      • 시각화 (2)
    • 학과공부 (6)
      • 품질 (1)
      • 생산 (1)
      • 자동화 (0)
      • 산업제어 (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8대공정
  • 로보어드바이저
  • 주식
  • bei지표해석 #인플레이션예측 #금리정책전망 #채권시장 #기대인플레이션
  • 주식종목분석
  • 반도체공부
  • 삼성전자
  • 반도체
  • 주린이
  • 핀트
  • 미국주식
  • 데이터분석
  • Plotly
  • isfp투자 #감성투자 #자유로운포트폴리오 #테마주투자 #트렌드캐치 #감성리듬투자 #mbti재테크 #자유형투자자 #투자감각 #포트폴리오관리
  • 주식투자
  • 종목분석
  • entj투자 #전략투자자 #장기계획 #성과중심 #리더형포트폴리오 #혁신산업투자 #계획적리밸런싱 #고수익전략 #mbti투자성향 #투자궁합
  • esfj투자 #감성투자자 #정기투자 #배당etf #책임있는포트폴리오 #가족중심투자 #투자궁합 #안정형투자자 #mbti성향재테크 #자산관리스타일
  • 반도체8대공정
  • PER
  • 투자
  • esfp투자 #트렌드매매 #감성투자자 #핫테마etf #포트이원화 #투자커뮤니티 #감정매매방지 #mbti재테크 #즐거운투자 #자산루틴
  • Fint
  • estp투자 #mbti투자성향 #단타매매 #트레이딩전략 #투자감각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시장판단력 #뉴스기반투자 #실전투자 #etf전략
  • 배당주
  • a7c
  • 나스닥
  • Python
  • 소액투자
  • 주식입문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민병곽

곽병맛의 인생사 새옹지마

[반도체/8대공정]비전공자와 함께 공부해보는 박막, 증착 공정 (deposition)
취업/반도체 공부

[반도체/8대공정]비전공자와 함께 공부해보는 박막, 증착 공정 (deposition)

2020. 8. 20. 10:49
728x90
반응형

8대 공정

웨이퍼 제조 > 산화 공정 > 포토 공정 > 에칭 공정 ( 식각 공정 ) > 증착 공정 / 이온주입 공정 > 금속배선 공정 > EDS 공정 > 패키징 공정 

 

저도 함께 공부해가기 위해 작성하는 내용으로 틀리거나 보충했으면 좋겠다 하는 내용이 있으시면 지체없이 말씀해주세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차적으로 생각한 내용

 

박막 공정 : 웨이퍼 위에 얇은 막을 씌우는 공정 ( 1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진 막으로 굉장히 얇다) 

 

why?  -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게 하기 위해   ( 금속막층 + 절연막층 )  , but 단순히 증착만으로 전기적 특성이 생기는 것은 아니고 추후 이온주입 공정 필요.

how? - 물리적 (PVD) / 화학적 (CVD) 인 방법들을 통해 웨이퍼 위에 막을 입혀준다.

 

 

박막 공정은 웨이퍼 위에 굉장히 얇은 막을 씌워 웨이퍼가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게 만드는 공정을 말합니다.

 

약 1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진 막을 씌우는 일이므로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일입니다.

1 nm = 10^-9 m (10억 분의 1 미터)

박막:두께가 μm 이하인 얇은 막 

따라서 이러한 얇은 막을 씌우는 일이므로 박막 공정 또는 물질을 박막의 두께로 입힌다는 의미의 증착 공정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것 같습니다. 

 

 


박막 공정의 공정 분류 

 

이러한 세밀한 막을 씌우는 일을 어떻게 하는지는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https://www.skcareersjournal.com/tag/%EB%B0%95%EB%A7%89%EC%A6%9D%EC%B0%A9%20%EA%B3%B5%EC%A0%95

 

1. 화학적 기상 증착 (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2. 물리적 기상 증착 ( 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증착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구분지어 사용하게 됩니다.

 

우선 첫번째로 물리적 기상 증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리적 기상 증착은 다시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지게 됩니다.

 

첫째. 증착시키려는 ( 웨이퍼에 씌우고 싶은) 금속(target)을 고 진공에서 가열 및 증발 시켜 웨이퍼에 증착시키는 진공 증착 방법 ( Evaporation)

둘째, 플라즈마 상태에서 강한 전기장에 의해 가속된 이온을 금속에 충돌시켜서 떨어져 나온 금속입자를 웨이퍼에 증착시키는 스퍼터링 방법(Sputtering)

 

화학적 기상증착은 다음과 같이 다시 나누어 지게 됩니다

첫째, 열을 반응 에너지원으로 하는 ( AP-CVD, LP-CVD , AP는 상압 , LP는 저압, 즉 압력에 따라 다시 두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둘째, 플라즈마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플라즈마 강화 CVD (PECVD)

셋째 , 기존의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방식을 변형하여 원자층 단위의 더욱 얇은 박막을 쌓는 원자층 증착 (ALD)

 

 

+ 추가적으로 기상 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의 박막 증착 방법은 도포 와 도금 방식이 있습니다.

이는 SOG ( spin On Glass,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할때처럼 액체를 뿌리고 웨이퍼를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해 웨이퍼 위에 액체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 방식) 을 통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화학적 기상 증착 

>>화학적 기상 증착 안에서 사용되는 외부 에너지에 따라 , 열, 플라즈마, 광 등으로 나눠지게 된다. 

-> 이 때 증착 방법의 변화는 되도록 저압에서 시행되는 것을 목적으로 변화된것 같은데, 저압에서 증착공정이 시행될 경우 장점이 뭘까 생각해보자.

 

- 기체 상태의 증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을 진공상태의 반응 쳄버에 주입한 후 열 또는 플라즈마와 같은 에너지를 가해 웨이퍼 표면상에서의 화학반응을 일으켜 원하는 고체 상태의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입니다. 

 

-물리적 기상 증착 대비 피복능력 우수 ( why? )

-비가역적 반응 : 이전상태에서 현재상태가 되었을때 다시 이전상태로 돌아갈수 없는 경우 

 

내가 이해한 순서

1. 진공챔버안에 웨이퍼 넣는다

2. 박막시키고자 하는 것을 기체상태로 챔버안에 주입한다. 

3. 열 또는 플라즈마를 가해준다

4. 웨이퍼 표면과의 화학반응을 통해 증착이 완료된다.

5. 화학반응을 통해 생긴 부산물들은 기체형태로 배출(배기) 되게 된다. 

- 이 과정에서 다양한 화학반응이 이루어져서 화학적 기상증착이라고 하는것 같다.

 

실질적 과정

1. 반응 전구체가 반응 챔버 내로 유입되어 웨이퍼에 도달 ( 질량 전달 ) 

2. 전구체가 웨이퍼 표면에 흡착되어 표면과의 다양한 화학반응을 통해 고체상태의 박막 형성 

3. 반응 부산물이 기체상태로 반응챔버 빠져나가는 과정 ( 배기 ) 

 

+ 이때 일어나는 반응의 종류

이종 반응  : 가열된 웨이퍼 표면에서만 발생, 우수 품질 박막을 얻기 위한 필수 반응 (Good) 

균질 반응 (동종 반응) : 여러 부산물 및 반응물 덩어리로 인해 웨이퍼에 이물질을 형성할 수 있기 떄문에 안좋다 (Bad)

 

 

1) 열적 화학 기상 증착 

- 에너지원 : 열 

 

1-1 ) 상압 화학 기상 증착 ( AP - CVD )

공정온도 (400 ~ 500도) , 대기압(760 Torr)

 

-장점 : 증착 속도 빠르고 , 장치구조가 단순하다.

-여러 단점들 ( 생산성 낮고, 균일도 조절 어려움, 불순물에 의한 오염) 들로 인해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1-2 ) 저압 화학 기상 증착 (LP - CVD )

-우수한 계단 피복 능력 

-상압 화학 기상 증착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

 

2) 플라즈마

 

2-1 )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 ( PE-CVD )

-플라즈마 상태의 라디칼을 사용해 박막을 증착

-낮은 온도에서도 박막 형성 가능 ( 높은 에너지를 가진 활성종을 만들어 반응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 감소 가능 - why? 적은 에너지로 반응시킬수 있어서?) 

-높은 웨이퍼 처리량

-양호한 피복 능력 (낮은 고착 계수- 흡착 후 유동성 높음)

- 단점 : 다양한 물질들과 반응 부산물로 인한 박막 혼입의 가능성 

 

2-2 ) 고 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 HDP-CVD)

- 매립능력 조건을 갖추기 위해 제안된 방법

+매립 능력 : CVD박막에서 고 종횡비 구조물 사이의 공간을 빈 공간(VOID) 없이 매립할수 있는 능력?

 


-반응 가스 : SIH4, O2, Ar 등 

 

원리 : SiO2 박막 증착하고 바로 입구부분 식각을 동시에 진행해서 매립능력을 향상 시킨다. 

(증착하고 입구 부분에 빈공간 있으면 다음에 영향 있으니까 바로 동시에 식각해서 다음 증착공정 반복 할 때 빈공간 없이 잘 증착되게 만드는 방법인것 같다. )     

 

- 그림 있으면 이해 편할 듯 -

 

요구 조건 : 낮은 챔버 압력 (터보 펌프 사용 ) , 유도성 결합 플라즈마(ICP) , 전자 사이클로트론 공명 등과 같은 기술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2-3 ) 원자층 증착법 ( ALD , Atomic Layer Deposition ) 

 

- 반응 기체와 웨이퍼 기판 표면과의 화학 흡착을 통해 원자층 수준(atom, 그래서 원자층 증착법 인듯) 으로 한층 한층 박막을 쌓아 올라가는 증착 방법 

( 원자층 수준이니까 정말 얇고 정밀하게 까는게 가능한 느낌) 

 

준비물 : 서로다른 전구체 A,B 

방법 : A 주입 -  정화기체 분사(PURGE) - B 분사 - 정화기체 분사(여기까지가 1 사이클,이 순서를 계속 반복해서 실행 ) 

 

자기제한적 반응 : 아무리 많은 양의 전구체를 주입하더라도 흡착하려는 공간이 꽉 차면 더이상 흡착 및 증착이 안일어난다.  - (그러면 많이 주입해서 깔리고 남으면 나머지 기체는 배출되는건가? - 배기 단계가 있다 )

 

비유해서 생각 : 전구체(구슬아이스크림 정도로 생각)를 컵에 깔면 제일 아래층 공간이 꽉차면 더이상 안깔린다. 근데 위에 다른 맛의 아이스크림을 한층 더 쌓았을때 아래랑 위에랑 맛이 섞일 수 있으므로 그런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Purge반응 (정화기체 분사) 단계를 거쳐 서로다른 아이스크림 간에 맛이 섞이는 걸 방지하는 느낌 

 

사이클 당 두께를 고려해서 사이클 수를 결정 후 반복하면 원하는 두께의 박막을 증착할 수 있다!  

-원하는대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 굉장히 큰 장점인것 같다.

 

장점

1. 자기 제한적 반응

2. 매우 정교한 두께의 제어가 가능 ( 원자 수준으로 사이클 반복을 통해 ) 

3. 계단 피복 능력이 우수 

(+ 앞서 살펴본 PVD,CVD의 경우 도달각이 큰 구조물의 입구 부분에 증착이 먼저되어 역 돌출부가 생겨 증착이 진행될수록 입구가 막히는 문제가 생긴다. but ALD는 자기제한적 반응으로 인해 역 돌출부 생성이 없어서 )

4. 전구체만 다르게 주입해주면 상이한 박막의 연속 증착이 가능 ( A,B, C ... 등 다양한거 가능)

5. 저온 증착이 가능 (반응성이 낮아서? 높아서?, 저온 증착 가능한 조건 찾아보기  ) 

 

단점

- 좁은 공정 온도 윈도우 떄문에 적절한 전구체와 반응체 선택이 어렵다 

- 증착 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저하된다. 

 

ALD 응용 분야

- FinFET 게이트 산화막 , 3d 낸드 플래시의 터널 산화막 등 \

 

 

CVD와 ALD의 차이 

CVD ALD
모든 전구체가 동시에 주입 전구체를 순차적으로 주입 
cvd전구체 공정온도에서 열분해 분해되면 안된다 
-따라서 ALD 공정온도는 전구체의 열분해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게 저온증착 가능한 이유인가?)
반응성 높을 필요 x  ALD전구체의 반응성이 매우 높아야 함
전구체 가스 유량 세밀 제어 제어 필요 x (자기제한특성)  
열분해, 산화,환원 박막 증착 리간드의 교환,해리등 화학흡착
챔버 크기 상대적으로 큼 퍼지 시간 짧게 하기 위해 챔버 작을 수록 좋다.

 

ALD 공정 장치

 

1. 흐름형 반응기

 

2. 샤워 헤드형 반응기 

 

 

2-4) 플라즈마 증속 ALD (PE-ALD)

방법 : A 주입 -  정화기체 분사(PURGE) : 여기까지는 ALD와 동일 -> 전구체 B 주입 단계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반응성을 향상 

-직접 플라즈마 방식 & 원격 플라즈마 방식 


물리적 기상 증착

 

1) 진공 증착

 

 

2) 스퍼터링 증착 

 

 


추가해야할 내용

 

물리적 기상 증착 

-진공 ( Evaporation)

-스퍼터링

 

공정 중 온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 

각 공정별 장단점 표로 정리


이해하기 어려웠던 내용 및 용어 

 

계단피복 능력

플라즈마

기압과 온도 간 관계

 

종횡비 : 반도체 구조 가로 세로비율

고 종횡비 구조물 ? - 반도체가 옆으로 펼치는데는 한계가 있으니까 위로 쌓는 적층방식을 도입하기 시작했는데 이를 통해 형성된 위로 쌓인 구조물의 종횡비 비율이 높다? 높이가 높다는 의미 같다 

-> 이러한 구조물이 되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함께 생겨나는듯

Ex. TSV filling?  

 

전구체(前驅體, 영어: precursor) 또는 전구물질(前驅物質) 또는 '선구 물질'은 화학에서 다른 화합물을 생성하는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화합물이다.

 

리간드 ? : 화합물의 중심 금속 이온이 비공유 전자쌍을 주면서 배위결합하고 있는 분자 또는 이온  ( 이 말도 이해가 잘 안된다. ) 

 

 


제 입장에서 반도체 공부를 해보는 과정에서 시대의 흐름 순서대로 공정에서 쓰이는 기술들이 어떻게 변화했고 왜 변화했는지를 파악해가면서 공부를 하다보면 개념이 조금 더 쉽게 이해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혹시 수 많은 개념들이 한번에 몰려들어 이해하기 힘든 때가 온다면 중간중간 어떤 변화가 있었고 어떤 경우에 이 기술과 공정을 쓰는지를 이해하고 넘어간다면 더욱 깊고 넓은 이해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반도체 공부는 생소한 용어도 많고 사용되는 공식이 다양해 더욱 어려운것 같습니다. 함께 같은 꿈과 관심사를 갖고 노력하는 모든 분들이 성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취업 > 반도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8대공정]비전공자와 함께 공부해보는 금속 배선 공정  (0) 2020.08.21
[반도체/8대공정]비전공자와 함께 공부해보는 이온 주입 공정  (0) 2020.08.21
반도체 공부 채워나가기  (0) 2020.08.07
semiconductor reliability  (0) 2020.02.11
신뢰성 관리 내역  (0) 2020.01.30
    '취업/반도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반도체/8대공정]비전공자와 함께 공부해보는 금속 배선 공정
    • [반도체/8대공정]비전공자와 함께 공부해보는 이온 주입 공정
    • 반도체 공부 채워나가기
    • semiconductor reliability
    민병곽
    민병곽
    하고 싶은 것 , 해야 하는 것, 했어야 했던 것

    티스토리툴바